다기능 농업 (Multifunctional agriculture)의 정의 개념 이론

2022. 12. 27. 11:03공간농업, 농업공간

 

 

1994 UR 타결 WTO 창설되면서 농업의 비교역적 기능인 다원적 기능(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농산물 시장 개방을 주장하는 수출국의 입장에 대응한 수입국들의 자국 농업 보호 논리로 강조되면서부터 생산의 결합성(jointness in production) 이슈로 인해 농업생산행위와 다원적 기능이 결합되지 않았다고 주장한 burrell(2001) 농업과 분리되어 있는 가치를 추정하고자 OECD(2001), smith (2000), kwon(2004), 정현희(2008) 같은 연구가 진행되면서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In 1998 the European Union funded a study (UE IMPACT Study) aiming at underlying the extent of diversification in EU farms. From that moment, numer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is topic (Marinelli and Menghini, 1996).

2003년에는 LEADER 프로그램이 완료되면서 미래 농업과 농촌개발을 어떻게 것인가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책적인 논쟁 과정에서 기존에 농업의 가치추정에 머무르지 않고, 다원적기능을 활용하는 논의가 등장하였다. 이는 농업을 단순 식량과 섬유를 생산하는 고전적 역할을 하는 것만이 아닌 재생가능한 자원의 관리, 경관과 생물다양성 보전, 농촌사회의 사회경제적 생존에 기여하는 다양한 활동들로 정의된다(Renting et al. 2009; Hajanlka and Alsjos, 2009; Van Huylenbroeck and Durand, 2003).

다기능 농업(MFA) 개념은 유럽 네덜란드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농업과 농촌이 농업 생산 활동을 넘어서는 경제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2011, VNG). 또한 농업의 외부효과(externality) 활용하여 농업과 다른 서비스를 하나 이상 제공하는 것을 다기능 농업(MFA)으로 정의하기도 한다(2012, Hans Hurni). 과거 생산 중심적 산업에서 탈피하여 농산업에서 파생되는 여러 다기능성 혹은 양의 외부효과(externality) 서비스 형태로 농가 소득사업으로 전환하는 것이라 있으며, 농업의 기초적인 기능인 식량 생산을 넘어 생물다양성 회복, 환경정화, 어메니티 복원, 문화유산 활용, 식량안보 과거 농업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여러 분양의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농업이라고 있다(Belletti G. 2002). 이는 농업의 외부효과(externality) 다기능성을 농업의 소득사업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농업 생산 활동과 환경과의 밀접한 관계를 의미하며, 서비스 산업이라 할지라도 농업과 이질적이지 않고 유기적인 가치사슬(Value Chain) 같은 농업 형태라 있다(정현희 2013).

이러한 다기능 농업(MFA) 환경과 문화, 그리고 농촌개발을 통합하기 곤란한 식량생산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농업에 대한 변화된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다(Potter, 2002; Dobbs and Pretty, 2004). 또한 농업의 상품화는 물론 새로운 기업가적 활동을 통한 다양한 생태적 서비스를 통해 농가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Wilson, 2007; Jordan and Warner, 2010).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같은 긍정적인 농업의 외부효과(externality) 활용하는 것으로 농업의 시장실패를 농가의 내생적인 활동으로 제거하는 하는 것이며, 외부적으로는 내생적 활동으로 충족되지 않는 농가소득창출과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하고 환경 보전을 위한 농업 직불금 제도의 타당성을 확립해 나갈 있는 방안이다.

The classification of Multifunctional agriculture is based primarily on the concepts outlined by van der Ploeg and Roep (2003): a framework that accentuates diversification explicitly toward Multifunctional agriculture, with multifunctional diversification, extending beyond the limits of typical multi-crop or multi-livestock production of conventional agriculture. In addition to the core business of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the main idea is that rur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three alternative strategies of deepening, broadening, and re-grounding, which are applicable to the expansion of farm business activities and can simultaneously be grouped as new activities, markets, and managerial solutions (Finocchio and Esposti, 2008).

 

 

Fig(1) : Van der ploeg's "Value Triangle in Modern Agriculture"

 

source : Van der Ploeg et al. 2003

 

Deepening mainly refers to the integration of new unconventional activities into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system, such as the reorganization of production with more complex and integrated practices, the innov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ative aspects. These activities typically add value to agriculture, such as direct dealing or process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roadening mainly refers to the development of non-food production activities that reflect new market requirements and could possibly create a new income source. An example is the use of farming structures as farm holidays (e.g., on-farm activities, care farm activities) (Baldock and Beaufoy, 1993; Renting et al., 2009).

Re-grounding mainly concerns all non-agricultural activities that are complementary to the main agricultural on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lternative employment options. It is the most widely used strategy as it involves more extensive forms of integration between farms and the local environment (e.g., maintenance of gardens, production of animal feed, silviculture), in achieving natural services (Menghini et al., 2014).

 

 

영문원본 : https://multifunctionality.tistory.com/9

 

Source : Jung, H.H. 2022, A Valuation Study on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Multifunctional Agriculture in South Korea: Beyond 6th Industrialization, Kyoto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Reference link https://multifunctionality.tistory.com/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