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농업(8)
-
공간농업연구의 시작
2023년도가 훌쩍 지나가 버렸습니다. 한 것도 없는데 시간이 빠릅니다. 나는 늘 바쁘고, 힘들고, 지쳐 있는데, 행복은 온 데 간데없습니다. 2024년 새로운 마음으로 다 같이 화이팅 합니다. 공간농업경제연구는 문어발 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각개전투 다기능 전투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농촌은 말도 많고, 정의도 많고, 정책도 많은 곳입니다. 공간농업경제연구는 농업을 공간으로 바라보는 농업입니다. 농업과, 농촌과 환경과 사람을 공간의 테두리 안에서 정책을 펼칩니다. 공간농업경제연구를 진행합니다. 세부적으로 농업의 외부성을 농업활동에 포함하는 다기능 농업과, 환경 농업의 연구를 펼칩니다. 공간농업연구는 농업인으로서 스마트팜을 연구하고 추진합니다. 작물재배, 온도, 습도, 관개방법에 대한 연구 학습회를 운..
2023.12.15 -
공간농업경제연구 RSEA 연구진 Researchers
연구진 정현희 (Ph.D., 농학박사, 경제학), 연구위원, Research Manager (R.M)세종대학교 경영학사서울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경제학석사교토대학교 자원환경경제학과 농학박사(경제학), Schoralship Appointed as a JSPS RONPAKU Fellowship Program, Division of Natural Resource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Kyoto University Employment History2008/10/01 Apointements as a junior researcher in Department of Green growth, Korean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201..
2023.12.15 -
한국의 6차산업 정책 현황
3. 한국의 6차 산업화 운동 한국은 역동적인 나라로 불릴 만큼 빠르게 변화했다. 한국전쟁(1950-1953)과 1980년(세마을운동) 사이에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엄청난 성장을 이뤘을 뿐만 아니라 농업에서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농업정책의 주요 목표는 식량의 대량생산과 농촌기반시설의 확충이었다. 1980년부터 2000년까지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보조금 중심의 직접사업이 농촌지역의 주요 정책이 되었다. 보조금 정책은 농촌사회의 소득불평등 문제의 주범으로 지금까지 논란이 되어왔다. 2000년 이후 지방자치정부(1995년)가 시행되면서 지역개발, 향토음식, 사회적농장, 부대사업 등을 함께 추진하였고, 2015년부터는 6차 산업을 육성하였다. 2015년 이후의 대한민국 농업과 미래의 변화를 대표..
2022.12.27 -
다원적 기능과 다기능 농업의 차별성
농업의 다원적 기능와 다기능 농업은 명확하게 구분됩니다. 농업의 다원적 기능는 여러 산출물을 가질 수 있는 농업의 수많은 이점으로 정의되며 따라서 여러 사회적 목표를 한 번에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OECD, 2001). 다기능 농업는 농업 생산 활동 이외의 경제 활동으로 정의된다(VNG, 2011). Table 2.2 Differences between MFA and MOAMOA/MFAConcepts and definitionExamples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MOA)Social effects by economic activities in agriculture (OECD, 2001)Landscape, Clean air, History, Flooding ..
2022.12.27 -
다기능 농업의 기능과 효과
그림 2.5는 IAASTD(2008a)가 제시한 농업의 역할과 기능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보여준다. Van der Ploeg and Roep(2003)의 다기능 농업 기본 이론은 regrounding, deepening, broadening으로 표현되지만 구체적인 기능이나 효과는 설명되지 않는다. 정(2014)은 IAASTD(2008)의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효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다기능 농업의 기능을 설명하였다. 다기능 농업의 원래 관점에서 그 효과는 경제, 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기능 농업는 경제적 측면에서 다각화, 사회적 측면에서 향상된 관계, 환경적 측면에서 지속 가능성을 의미한다. 첫째, 다기능 농업는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통해 경제적 효과를 발휘한다..
2022.12.27 -
다기능 농업 (Multifunctional agriculture)의 정의 개념 이론
1994년 UR 타결 후 WTO가 창설되면서 농업의 비교역적 기능인 다원적 기능(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이 농산물 시장 개방을 주장하는 수출국의 입장에 대응한 수입국들의 자국 농업 보호 논리로 강조되면서부터 생산의 결합성(jointness in production) 이슈로 인해 농업생산행위와 다원적 기능이 결합되지 않았다고 주장한 burrell(2001)과 농업과 분리되어 있는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 OECD(2001), smith (2000), kwon(2004), 정현희(2008)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면서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In 1998 the European Union funded a study (UE IMPACT Study) aimi..
2022.12.27